티빙 웨이브 합병,OTT 요금제 총정리~~변경 내용과 비교까지!!

 

 

2025년 여름 국내 OTT 시장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났어요!! 바로 티빙(TVING)과 웨이브(WAVVE)의 합병이 공정거래위원회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기 때문인데요. 이번 결정은 넷플릭스의 독주를 막고 국산 OTT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것 같아요!!저도 평소에 티빙과 웨이브를 번갈아가며 이용해왔기에 이번 소식이 매우 반가웠답니다.그럼 지금부터 티빙-웨이브 합병 이슈와 함께 OTT 요금제 변화,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궁금하신분~~??? 팔로팔로미~~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소식으로 관련주들이 빠르게 급등하고 있죠?? 관심있으시면 보고 가세요!!

 

티빙 웨이브 합병 관련주 바로가기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티빙-웨이브 합병, 조건부 승인이 났어요!!

2025년 6월 10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티빙과 웨이브의 기업결합 신고를 조건부로 승인했어요. 그 조건이 바로 요금제 유지랍니다.
즉 최소 2026년 12월 31일까지는 현재의 요금제가 유지되어야 하며 설령 통합 플랫폼이 생기더라도 유사한 가격·서비스 수준의 요금제를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죠.

개인적으로 이 조건이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해요.OTT 요금제는 매년 조금씩 오르고 있어서 부담이 크거든요. 두 서비스가 합쳐지면서 또 인상되면 소비자 입장에선 난감할 뻔했죠?? 😉😉

 

☑️그거 아세요?? 배달의민족이랑 티빙 결합상품도 있데요!! 100원 만 추가하면 티빙을 볼 수있데요!!

 

배달의 민족 티빙 결합상품 보러가기

 

 

 

OTT 요금제, 합병 이후 어떻게 바뀔까요?

공정위는 티빙-웨이브 합병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내년 12월 31일까지 현행 요금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죠?  합병이 완료되더라도 2026년 말까지는 기존 요금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격, 서비스의 신규 요금제만 출시할 수 있답니다. 

 

현행 요금제 예를 보자면...

-티빙: 광고형 스탠다드 월 5,500원, 베이직 9,500원, 스탠다드 13,500원, 프리미엄 17,000원
-웨이브: 베이직 월 7,900원, 스탠다드 10,900원, 프리미엄 13,900원

 

서비스가 통합되어도 기존 요금제에 가입한 소비자는 계속 이용할 수 있으며 통합 후 요금제를 해지했다가 1개월 이내에 재가입 요청 시 같은 요금제로 다시 가입할 수 있어요. 이는 OTT 이용자들이 잠시 구독을 중단했다가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고려한 배려라고 하네요.

 

 

요금제 변경,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

공정위는 티빙-웨이브 합병으로 OTT 시장의 상위 4개 업체가 3개로 줄어들고 시장 집중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어요. 이에 따라 가격 인상 유인이 커질 수 있다며 요금제 유지 조건을 부과했어요. 실제로 두 플랫폼이 단독상품을 없애고 결합상품만 출시한다면 구독 요금이 실질적으로 인상될 가능성도 있죠?

저는 이번 합병이 단순히 요금제 변화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국내 OTT 시장의 경쟁 구조 자체를 바꿀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중요하다고 보고있어요. 넷플릭스와 쿠팡플레이 등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한 곳에서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은 있을것 같네요.

 

합병의 관건과 향후 전망도 살펴볼게요.

합병의 마지막 관문은 티빙의 2대 주주인 KT의 동의 여부예요. KT는 현재 합병이 주주가치 제고에 유리한지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며 동의 없이 합병이 강행되기는 쉽지 않아요.업계에서는 새 정부의 K-OTT 플랫폼 강화 정책과 맞물려 KT가 마지막까지 반대할지 귀추가 주목된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합병이 성사될 경우 CJ ENM, SK스퀘어, 지상파 3사 등 관련주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다만 합병 과정에서 지분 희석이나 재무적 부담이 커질 수 있으니 투자 시에는 기업 실적과 시장 변화에 대한 꼼꼼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답니다. 😉

 

마무리하며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은 단순한 기업 통합이 아니라 한국형 콘텐츠 시장을 다시 설계하는 도전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넷플릭스가 세계를 장악한 가운데 K-콘텐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OTT도 규모의 경제와 콘텐츠 투자가 필요하니깐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